업계 최신동향·뉴스

진흥원, 2025년 2분기 바이오헬스산업 고용동향 발표

진흥원, 2025년 2분기 바이오헬스산업 고용동향 발표

 바이오헬스산업 종사자 수 112.4만 명, 전년 동기比 4.8% 증가 


□ 한국보건산업진흥원(원장 차순도, 이하 진흥원)은 2025년 2/4분기 바이오헬스산업 고용동향을 발표하였다.


□ (종사자) 2025년 2/4분기 바이오헬스산업 종사자 수는 112.4만 명으로 전년 동기대비 4.8%(+5만 1천 명) 증가하였다. 


 ○ (성별) 바이오헬스산업 종사자는 여성 비중(75.0%)이 남성(25.0%)보다 높게 나타났으나, 보건제조업의 경우 남성의 비중(57.0%)이 여성(43.0%)보다 높게 나타났다. 


  – 여성 비중이 높은 산업은 의료서비스업(여성 81.5%)과 화장품산업(여성 58.0%)이며, 제약산업(남성 63.2%)과 의료기기산업(남성 58.6%)은 남성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.


 ○ (연령별) 바이오헬스산업 종사자 중 29세 이하(청년층) 종사자 수는 전년 동기대비 1.4% 증가하면서 2022년 1/4분기 이후 처음으로 증가*한 것으로 나타났다. 

    * 바이오헬스산업 29세 이하(청년층) 종사자 수 증감률 : ’22년 2/4분기 –0.4% → ’23년 2/4분기 –2.0% → ’24년 2/4분기 –2.3% → ’25년 2/4분기 +1.4%


  – 특히, 산업별 29세 이하(청년층) 종사자의 증감률*은 화장품산업에서 6분기 연속, 제약산업에서 2분기 연속 증가하였으며, 의료서비스업에서도 증가세로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.

    * 산업별 29세 이하(청년층) 종사자 수 증감률 : 화장품산업 +7.3% > 의료서비스업 +1.6% > 제약산업 +0.4% > 의료기기산업 –4.1%


 ○ (산업별) ’25년 2/4분기 바이오헬스산업 종사자 수는 화장품산업(+8.1%)을 중심으로 전 산업 대비 높은 증가율*을 보이고 있다.

    * 전 산업 종사자 수 증가율 : ’24년 3/4분기 1.4% → ’24년 4/4분기 1.3% → ’25년 1/4분기 1.0% → ’25년 2/4분기 1.2%

    * 바이오헬스산업 종사자 수 증가율 : ’24년 3/4분기 3.3% → ’24년 4/4분기 3.9% → ’25년 1/4분기 4.3% → ’25년 2/4분기 4.8%


  – (제약) 제약산업의 종사자 수는 전년 동기대비 3.3%(8만 5천 명) 증가하였으며, 세부 분야별로는 ‘한의약품 제조업’의 증가율이 8.4%로 가장 높았고, 이어서 ‘의약용 화합물 및 항생물질 제조업(+4.0%)’, ‘완제 의약품 제조업(+3.1%)’, ‘생물학적 제제 제조업(+1.1%)’ 순으로 나타났다. 


  – (의료기기) 의료기기산업 종사자 수는 전년 동기대비 1.9%(6만 4천 명) 증가하였으며, 세부 분야별로는 ‘전기식 진단 및 요법 기기 제조업’(+5.8%), ‘의료용 가구 제조업’(+4.1%), ‘정형외과용 및 신체보정용 기기 제조업’(+3.5%) 순으로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다.


  – (화장품) 화장품산업 종사자 수는 전년 동기대비 8.1%(4만 1천 명) 증가하며, 역대 최고 증가율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. 특히, 29세 이하(청년층) 종사자 수*는 ’22년 2/4분기 이후 처음으로 8천 명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.

    * 화장품산업 29세 이하(청년층) 종사자 수 : ’22년 2/4분기 8.1천 명 → ’23년 2/4분기 7.5천 명 → ’24년 2/4분기 7.6천 명 → ’25년 2/4분기 8.2천 명


  – (의료서비스) 의료서비스업 종사자 수는 전년 동기대비 5.0% 증가한 93만 4천 명으로, 세부 분야별로는 ‘한방 병원’의 종사자 수 증가율이 13.0%로 가장 높았으며, 이어서 ‘일반 의원’(+7.5%), ‘방사선 진단 및 병리 검사 의원’(+5.8%) 순으로 나타났다.


□ (신규 일자리) 2025년 2/4분기 바이오헬스산업 분야 신규 일자리*는 10,572개 창출(전년 동기대비 6.0% 감소)되었으며, 보건제조업은 1,200개로 전년 동기대비 0.3%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.


    * 한국고용직업분류(2018년) 기준 바이오헬스산업에 해당하는 93개 직종 기준 


 ○ (산업별) 의료서비스업이 9,372개(88.6% 비중)로 가장 많은 신규 일자리가 창출되었고, 그 뒤로 제약산업 507개, 의료기기산업 369개, 화장품산업 324개 순으로 나타났다.


 ○ (직종별) 직종별로는 ‘보건·의료 종사자’* 신규 일자리 수가 3,492개(33.0%)로 가장 많았으며, 이어서 ‘간호사’ 2,680개(25.3%), ‘의사, 한의사 및 치과의사’ 1,408개(13.3%), ‘의료기사·치료사·재활사’ 911개(8.6%), ‘경영지원 사무원’ 309개(2.9%) 순으로 나타났다.


    * ‘보건·의료 종사자’는 응급구조사, 위생사, 안경사, 의무기록사, 간호조무사, 안마사, 기타 보건·의료 종사원을 말함


□ 진흥원 이병관 바이오헬스혁신기획단장은 “전 산업 고용 증가세가 둔화되는 가운데에서도 바이오헬스산업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하며 국가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”고 강조했다.


 ○ 이어, “특히, 29세 이하(청년층) 종사자가 3년(12분기) 만에 증가세로 전환된 것은 산업의 인력 구조가 한층 건강해지고, 청년 인력 기반이 강화되고 있음을 의미한다”며,


 ○ “진흥원은 앞으로도 바이오헬스산업이 양질의 일자리와 혁신 성장을 이끄는 핵심 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, 정책 지원과 산업 생태계 조성을 적극 뒷받침해 나가겠다”고 밝혔다.


    ※ 문의 : 바이오헬스혁신기획단 산업통계팀 강창호 연구원 ☎ (043)713-8434

mixhub

About Author

BOLAB @2023. All Rights Reserved.